구분 | 주요 내용 | |||
주최·주관 | 국토교통부·한국주택토지공사(LH) | |||
경연내용 | 드론을 활용한 첨단측량 및 굴삭기 자동화 시연 - (첨단측량) 일정규모 내 평가지점 좌표값과 평가부지 디지털맵 생성의 신속성 및 정확성 평가 - (토공자동화) 설계정보에 대한 굴삭작업의 신속성, 정확성 평가 | |||
대회일시 | 2020년 9월16일(수) 첨단측량 경연(1일차) 2020년 9월18일(금) 토공자동화 경연(2일차) | |||
대회장소 |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| |||
목표 | 토공장비(굴삭기 등), 머신 가이던스 시스템, 첨단측량(드론, 3D스캐너, 라이다 등)을 활용한 토공자동화 기술 시연 및 기술보급 촉진 | |||
경연 시나리오 | (현장)디지털맵, 작업정보 생성 | - 1일차 | 측량부지 500m×200m의 디지털맵과 작업정보 생성에 대한 최종 작업소요 시간 및 평가지점 측량값의 정확성 | |
(현장)토공자동화 | - 2일차 | 절토작업 2hr이내 토공물량에 대한 최종 작업 소요시간 및 평가지점 시공의 정확성 | ||
* 경연내용에 대한 세부사항은 설명회(7.31)에서 전달 * 작업정보: 토공량, 표면적, 단면정보 등 * 토공작업 시 설계정보(절토량 / 성토량 등) 제공 |
구분 | 주요 내용 |
주최·주관 | 국토교통부·한국주택토지공사(LH) |
경연내용 |
드론을 활용한 첨단측량 및 굴삭기 자동화 시연
|
대회일시 | 2020년 9월16일(수) 첨단측량 경연(1일차) 2020년 9월18일(금) 토공자동화 경연(2일차) |
대회장소 |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|
목표 | 토공장비(굴삭기 등), 머신 가이던스 시스템, 첨단측량(드론, 3D스캐너, 라이다 등)을 활용한 토공자동화 기술 시연 및 기술보급 촉진 |
경연 시나리오 | (현장)디지털맵, 작업정보 생성
- 1일차
측량부지 500m×200m의 디지털맵과 작업정보 생성에 대한 최종 작업소요 시간 및 평가지점 측량값의 정확성 |
(현장)토공자동화
- 2일차
절토작업 2hr이내 토공물량에 대한 최종 작업 소요시간 및 평가지점 시공의 정확성 |
|
|
City Challenges | Climate Change |
Income/Wealth Inequality |
Regional Growth |
Outdated Governance |
||||||||||||||||||||
Smart City OS | Digital Twin |
|||||||||||||||||||||||
City Domains | Infrastructure |
Society |
Economy |
Environment |
||||||||||||||||||||
Foundation Technologies |
|
City Challenges | Climate Change |
|
Income/Wealth Inequality |
||
Regional Growth |
||
Outdated Governance |
||
Smart City OS | Digital Twin |
|
City Domains | Infrastructure |
|
Society |
||
Economy |
||
Environment |
||
Foundation Technologies |
|
비전 | 도시개발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LH 디지털 트윈 |
||||||||||||||
목표 |
|
|
|
||||||||||||
전략 |
|
|
|
비전 | |
목표 | |
전략 |
도시개발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LH 디지털 트윈 |
||||||||||||||
|
|
|
||||||||||||
|
|
|
시각화 서비스 | 상호 작용형 서비스 | 예측형 서비스 | ||||
도시계획 설계 ![]() |
01 3D 도시정보기반 가상도시 구현 | 04 규칙기반 반응형 도시설계 | 07 시뮬레이션 기반 최적 설계 | |||
|
|
|
||||
도시 개발 ![]() |
02 3차원 디지털 개발현장 구현 | 05 위치기반 개발현장 모니터링 | 08 입체적 개발공정 시뮬레이션 | |||
|
|
|
||||
도시 관리 운영 ![]() |
03 협력적 도시공간정보 상시갱신 | 06 3D 도시정보 데이터허브 플랫폼 | 09 도시운영 시뮬레이션 | |||
|
|
|
도시계획 설계 ![]() |
|
도시 개발 ![]() |
|
도시 관리 운영 ![]() |
시각화 서비스 | 상호 작용형 서비스 | 예측형 서비스 | |||
01 3D 도시정보기반 가상도시 구현 | 04 규칙기반 반응형 도시설계 | 07 시뮬레이션 기반 최적 설계 | |||
|
|
|
|||
02 3차원 디지털 개발현장 구현 | 05 위치기반 개발현장 모니터링 | 08 입체적 개발공정 시뮬레이션 | |||
|
|
|
|||
03 협력적 도시공간정보 상시갱신 | 06 3D 도시정보 데이터허브 플랫폼 | 09 도시운영 시뮬레이션 | |||
|
|
|
지구단위계획
주요내용 및 도시계획 시뮬레이션 적용대상 |
용도지역·용도지구
기반시설 가구 및 획지 |
세분화 및 변경 관련 지침/기준 검토
기반시설 a용량 산정 시뮬레이션 (계획 부문) |
||
건축물 I
용도, 건폐율, 용적률, 높이 ![]() |
지구단위계획에서 지정된 허용, 불허, 권장용도 연계 표출
지구단위계획수립 기준에 따른 해당 획지 내 적정 건폐율, 용적률, 높이 연동 시뮬레이션 주택건설계획과 연계한 개발밀도 검토 및 공동주택 배치 시뮬레이션 |
|||
건축물 II
배치, 형태, 색채, 건축선 ![]() |
휴먼스케일 및 가로벽 형성을 고려한 저층부 계획(지정선, 한계선 등) 시뮬레이션
인접 대지와의 관계 및 통합적 도시공간계획을 위한 건축물 배치 시뮬레이션 스카이라인, 지붕 및 입면, 재료 및 색채 등의 대안 검토 시뮬레이션 |
|||
환경관리
![]() |
|
|||
경관
![]() |
주요 조망점, 통경축 검토 및 입체적 도시공간에 대한 경관 시뮬레이션
가시권 및 시곡면 분석 등 시뮬레이션 |
|||
교통처리
![]() |
교통량 분석(교통량 배분, 예측, 도로별 서비스수준)
도로폭 및 차선수 변경, 가로환경디자인(교통정온화기법적용 등)에 따른 영향 시뮬레이션 |
용도지역·용도지구
기반시설 가구 및 획지 |
세분화 및 변경 관련 지침/기준 검토
기반시설 a용량 산정 시뮬레이션 (계획 부문) |
|
건축물 I
용도, 건폐율, 용적률, 높이 ![]() |
지구단위계획에서 지정된 허용, 불허, 권장용도 연계 표출
지구단위계획수립 기준에 따른 해당 획지 내 적정 건폐율, 용적률, 높이 연동 시뮬레이션 주택건설계획과 연계한 개발밀도 검토 및 공동주택 배치 시뮬레이션 |
|
건축물 II
배치, 형태, 색채, 건축선 ![]() |
휴먼스케일 및 가로벽 형성을 고려한 저층부 계획(지정선, 한계선 등) 시뮬레이션
인접 대지와의 관계 및 통합적 도시공간계획을 위한 건축물 배치 시뮬레이션 스카이라인, 지붕 및 입면, 재료 및 색채 등의 대안 검토 시뮬레이션 |
|
환경관리
![]() |
환경·재해 검토 및 절·성토량 계산
소음, 일조 등 시뮬레이션 세분화 및 변경 관련 지침/기준 검토 기반시설 용량 산정 시뮬레이션 |
|
경관
![]() |
주요 조망점, 통경축 검토 및 입체적 도시공간에 대한 경관 시뮬레이션
가시권 및 시곡면 분석 등 시뮬레이션 |
|
교통처리
![]() |
교통량 분석(교통량 배분, 예측, 도로별 서비스수준)
도로폭 및 차선수 변경, 가로환경디자인(교통정온화기법적용 등)에 따른 영향 시뮬레이션 |